JH

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통신판매업 신고 방법

제이에이치컨설팅 2025. 6. 30. 11:13

요즘 누구나 스마트폰 하나로 쇼핑하고, 개인도 쉽게 온라인 쇼핑몰을 창업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 쿠팡, 스마트스토어, 11번가, 자사몰까지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이 늘어남에 따라 ‘통신판매업 신고’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요건이 되었죠.

하지만 많은 분들이 “사업자등록만 하면 되는 거 아냐?”, “어디서 신고하는 거지?”, “절차가 복잡하지 않을까?” 등 궁금증을 갖고 계십니다. 오늘은 통신판매업 신고 절차와 준비물,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통신판매업이란?

통신판매업은 인터넷, 전화, 우편 등의 비대면 방식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영업 형태입니다.
예: 네이버 스마트스토어, 쿠팡 마켓플러스, 카카오톡 스토어, 인스타그램 쇼핑 등

💡 일정 규모 이상의 판매 활동이 있거나, 상시로 물건을 판매한다면 반드시 ‘통신판매업 신고’가 필요합니다.


📝 신고 전 준비 사항

1. 사업자등록증

  • 개인 또는 법인 사업자등록이 먼저 되어 있어야 합니다.
  • 업태: 도소매 / 종목: 통신판매업

2. 영업장 주소

  • 실제 사용하는 사무실이나 주거지 주소 가능
  • 임대차계약서 또는 자택 증빙 필요

3. 본인 명의 휴대폰 및 이메일

  • 민원24 또는 정부24에서 인증 시 필요

🖥️ 신고 방법

💻 온라인 신고 (가장 일반적인 방법)

  1. 정부24 접속https://www.gov.kr
  2. 메인 화면 상단 메뉴에서 ‘민원서비스’ → ‘통신판매업 신고’ 검색
  3. ‘신청하기’ 클릭 후 공동인증서 로그인
  4. 신청서 작성
    • 사업자 정보
    • 통신판매 운영 사이트 URL
    • 연락처 및 대표자 정보
  5. 제출 및 접수 완료 확인

 

 

 

👉 처리 기간: 보통 3일 이내
👉 완료 후 ‘통신판매업 신고번호’ 발급됨 (예: 제2025-경기남양주-0000호)

🏢 오프라인 방문 신고

  • 시/군/구청 지역 경제과 또는 민원실
  • 방문하여 서면으로 신청 가능 (신분증 지참)

📄 발급 후 확인할 것


⚠️ 유의사항

  • 미신고 후 영업 시 과태료 최대 500만원 부과
  • 신고 후에도 주소나 대표자 변경 시 ‘변경신고’ 필수
  • 폐업 시에는 통신판매업 폐업 신고도 따로 해야 함

🎯 마무리

온라인 판매를 시작한다면, 사업자등록과 더불어 통신판매업 신고는 필수입니다. 간단해 보이지만, 누락하면 법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.

사업의 첫 단추부터 제대로 꿰어야 성공도 따라옵니다!
통신판매업 신고, 오늘 바로 진행해보세요 🙌